Home > 조사·학술활동 > 부산 송정동 유적
이 유적은 부산시 해운대구 송정동(釜山市 海雲臺區 松亭洞)의 곽걸산 동쪽 사면에 삼국시대 고분군과 통일신라시대의 생활유적, 근대의 논경작지(水田)가 함께 분포하고 있는 복합 유적입니다.
우리 대학교 박물관에서는 이 지역에 육군종합훈련장이 건립됨에 따라 유적이 소멸될 위기에 처하자 2002년에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각 시기의 유구에 대한 성격을 파악하고 유물을 수습하였습니다. 우선 곽걸산의 동쪽 구릉 사면에서 총 17기의 삼국시대 무덤이 확인되었는데, 구조는 수혈식석곽묘(竪穴式石槨墓)가 다수이며 이외에 목곽묘(木槨墓), 옹관묘(甕棺墓) 등도 있습니다. 규모는 모두 소형급으로 무덤 수도 적어서 당시 이 지역에서 생활하던 피지배계층의 무덤으로 생각됩니다.
고분군의 아래쪽 평지에는 하천이 흐르고 그 주변으로 건물지와 집자리, 우물, 기둥구멍 등 생활시설과 관련된 각종 유구들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중 특히 건물지는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으나 잔존 길이 19미터에 이르는 대형급으로서 상부에서 많은 기와와 막새 등이 출토되었습니다. 주거지, 우물, 기둥구멍 등 다른 유구들은 그 주변으로 배치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이 건물지가 이 곳에서 확인된 생활유구들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건물지의 성격은 기와와 막새의 존재, 그리고 절을 의미하는 ‘사(寺)’가 쓰여져 있는 토기의 출토예로 미루어 절과 깊이 연관을 가진 시설로 보이지만 초석(礎石)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이 유구들의 시기는 출토유물로 보아 구릉의 무덤 보다는 늦은 통일신라시대에 해당합니다.
한편, 이들을 덮고 있는 상층(上層)의 논경작지는 비교적 근대에 조성된 것으로서 무덤과 생활유구들이 폐기되고 난 뒤 오랫동안 이 지역에 사람들이 생활하지 않았음을 알려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