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메인메뉴
컨텐츠
사이트정보

  • 본문바로가기
  • 대표홈페이지
  • Home
  • Sitemap
  • 부경포털
  • 학과소개
    • 교육목적 및 인재상
    • 학과소개
    • 교수진소개
    • 위치안내
  • 학부
    • 교육과정
    • 졸업안내
    • 입학안내
    • 장학안내
  • 대학원
    • 일반대학원 사학과
    •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 글로벌정책대학원 한국문화학전공
  • 학생 자치기구
    • 학생회
    • 답사준비위원회
  • 커뮤니티
    • 공지사항
    • 사학과 소식
    • 갤러리
메뉴열기

대학원

  • 일반대학원 사학과
    • 전공소개
    • 교육과정
  •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 전공소개
    • 교육과정
  • 글로벌정책대학원 한국문화학전공
    • 전공소개
    • 교육과정

교육과정

Home > 대학원 >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 교육과정

교과목 해설

한국고대사교육방법론(Teaching Methodology of Korean Ancient History)

민족문화의 기원과 통일신라 말에 이르는 한국고대사의 발전과정을 재조명하며, 특히 청동기 문화와 고조선관계, 한민족의 형성과정 한국의 형성과 정치제도 삼국통일과정, 통일신라사회의 특징, 나말여초의 사회변동과 중세사회로의 이행과정 등을 검토한다.

한국중세사교육방법론(Teaching Methodology of Korean Medieval History)

고려시대부터 중세 말에 이르는 시기의 정치권력구조, 경제적, 사회적 신분구조, 문화, 사상 등 각 분야의 특징과 변천을 개관하며, 특히 고려귀족 사회에서 조선양반사회로의 이행과정과 그 특징을 재조명한다.

한국근현대사교육방법론(Teaching Methodolog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History)

근대의 기점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일제식민지 지배에서 현재에 이르는 역사를 검토하면서 근대화의 과정이 외세의 침략과 그에 대한 대응으로서 민족운동을 계몽운동, 독립운동, 반외세투쟁 등으로 정리하고 남북한의 분열과 대립이라는 현실적인 명제에 대해서 일정한 전망을 제시한다.

동양고중세사교육방법론(Teaching Methodology of Asian Ancient Medieval History)

중국의 고대와 중세 및 동시기의 동아시아의 제 문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할 뿐만 아니라, 같은 시기의 중국사와 일본사 등 동아시아의 관련성 속에서 제 문제를 검토한다.

동양근현대사교육방법론(Teaching Methodology of Asi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중국의 중세후기인 명·청대의 국가체제 및 사회경제와 동아시아의 국제관계를 이해하고, 서구 자본주의의 침입과 이로 인한 전근대의 동아시아 세계체제, 메이지유신 그리고 중국·일본을 중심으로 근대 국민국가가 출현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나아가 일본의 제국주의 형성과정과 중국혁명, 현대중국 및 현대일본의 구조를 살펴본다.

서양고중세사교육방법론(Teaching Methodology of European Ancient Medieval History)

서양고대의 정치·사회·경제·문화의 제반분야에 걸쳐 종적인 흐름과 횡적인 내용에 관하여 학습하며 아울러 서양중세사의 성격과 역사해석을 살핀다.

서양근현대사교육방법론(Teaching Methodology of Western Modern and ContemporaryHistory)

근대적인 정치·경제제도 및 사상과 문화를 형성하여 현재로 이어지는 과정을 르네상스·종교개혁·지리상의 발견·절대주의·계몽사상·프랑스혁명·자유주의·민족주의·제국주의·1차세계 대전·냉전·동서화해·소련의 붕괴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향토사교육방법론(Teaching Methodology of Local History)

부산의 발전과 변천과정을 역사적인 고찰을 통해 체계화하고, 이를 통해 부산이 갖는 역사적 성격과 특수성을 이해함으로서 향토의 역사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사교과교육론(Theories for History Teaching)

역사교육의 기초, 한국 및 세계의 역사교육의 실태, 역사교육의 목적과 심리적 기초, 내용선정, 현장, 교재 등 역사교육전반에 대한 지식을 갖추게 한다.

역사교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Survey on Korean Historical Data and Teaching Methods)

역사학계의 연구동향을 감안하여 현행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내용을 비교·분석, 그 미비점과 문제점을 찾아 보안책을 모색하고 현장에서의 교재활용의 효과적 방법을 연구한다.

역사교과논리 및 논술(Logic & discourse of history)

역사 교육에서 사고력, 문제해결력 배양을 위한 논리적 사고의 근본법칙 및 논술기법 등에 관한 것을 교수한다.

논문연구(Thesis Research)

이제까지의 연구성과를 종합한 결과물로서의 논문작성을 위해 개별적으로 주제와 분야를 정하여 여기에 대한 제반 사항에 관하여 논문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는다.

역사교육세미나 Ⅰ(Seminar in History TeachingⅠ)

역사교육 전반에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할 주제를 선정해서 그 내용을 공부하고, 관련 논문들을 통해 최근의 동향에 대해 다룬다.

역사교육세미나 Ⅱ(Seminar in History Teaching Ⅱ)

역사교육 전반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할 주제를 선정해서 그 내용을 검토하고 발표 및 토론을 통하여 심화하고 체계화한다.

한국사특강(Topics on the Korea History)

시대사에서 충분히 다루지 못한 분야나 주제를 선정하여 보다 심도 있는 내용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제도사·사상사·문화예술사·고문서학 등 관련되는 주세를 다룬다.

동양사특강(Topics on the Asian History)

시대사에서 충분히 다루지 못한 분야나 주제를 선정하여 보다 심도 있는 내용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제도사·사상사·문화예술사·고문서학·관계사 분야와 관련되는 주제를 다룬다.

서양사특강(Topics on the Europe History)

시대사에서 충분히 다루지 못한 분야 및 주제를 선정하여 보다 심도 있는 내용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정치사(The History of Korean Politics)

한국사에 있어서 정치 제도의 변화에 관하여 국가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있게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사학사(Korean Historiography)

한국전근대 및 근대사회의 발전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각 시기의 사서에 반영된 역사인식, 역사서술의 경향을 분석한다.

한일관계사(History of Relations Between Korea & Japan)

지리적으로 일본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부산을 위주로 하여 한일관계의 역사적 변천을 개관하며 오늘날의 한일관계의 다양한 현상과 앞으로의 좌표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일본사회경제사연구(Studies on Japanese Society-Economic History)

일본사에서 한국, 중국사에 비해 특수적인 정치구조 및 경제구조 관한 주제를 선정하여 분석, 검토함으로써 정치제도사적, 경제사적 측면에서 일본사를 재조명한다.

역사학개론(Introduction to the History)

역사학의 기초적 원리와 연구방법, 학문의 목적과 그에 대한 여러 쟁점들을 배워 역사학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교과과정표

교과구분 및 영역 국 문 영 문 학 점
구 분 영 역 전 후
전공 교 과
교육학
역사교과교육론 Theories for History Teaching 2 (2)
역사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Survey on Historical Data and Teaching Methods 2 (2)
역사교과논리 및 논술 Logic & discourse of history 2 (2)
역사교육세미나 Ⅰ Seminar in History Teaching Ⅰ 1 (1)
역사교육세미나 Ⅱ Seminar in History Teaching Ⅱ 1 (1)
교 과
내용학
한국고대사교육방법론 Teaching Methodology of Korean Ancient History 2 (2)
한국중세사교육방법론 Teaching Methodology of Korean Medieval History 3 (3)
한국근현대사교육방법론 Teaching Methodolog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3 (3)
동양고중세사교육방법론 Teaching Methodology of Asian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3 (3)
동양근현대사교육방법론 Teaching Methodology of Asi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2 (2)
서양고중세사교육방법론 Teaching Methodology of European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3 (3)
서양근현대사교육방법론 Teaching Methodology of Wester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3 (3)
향토사교육방법론 Teaching Methodology of Local History 2 (2)
논문연구 Thesis Research 2 (2)
한국사특강 Topics on the Korean History 3 (3)
동양사특강 Topics on the Asian History 3 (3)
서양사특강 Topics on the Europe History 3 (3)
한국정치사 The History of Korean Politics 3 (3)
한국사학사 Korean Historiography 3 (3)
한일관계사 History of Relations Between Korean & Japan 3 (3)
일본사회경제사연구 Studies on Japanese Society-Economic history 3 (3)
역사학개론 Introduction of History 3 (3)
역사교육론 Theories for History Teaching 2 (2)
계     59 (59)

※ 교원자격취득을 위한 학점 및 과목이수(전공)
    1) 교과교육학 영역: 6학점
    2) 교과내용학 영역: 24학점(기본이수교과목 14학점(5과목) 이상 포함)

기본이수교과목

전공명 표시과목 관련학부(전공) 기본이수교과목 또는 분야 지정교과목 비고
교과목명 학점
역사교육 역사 역사교육, 역사학 및
관련되는 학부(전공·학과)
(1)~(6)영역별 1과목이상 이수
역사교육론(1영역) 역사교육론 2 교대원
역사학개론(2영역) 역사학개론
역사란무엇인가
3
3
교대원
학 부
한국근현대사(3영역) 향토사교육방법론
한국근현대사
2
3
교대원
학 부
한국전근대사(3영역) 한국사사료읽기 3 학 부
한국대외교류사(4영역) 한국고대사교육방법론 2 교대원
서양전근대사(5영역) 서양사특강 3 교대원
동아시아전근대사(6영역) 일본사회경제사연구 3 교대원
동아시아근현대사(6영역) 동양근현대사교육방법론 2 교대원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대연동 부경대학교대연캠퍼스) 인문사회·경영관(C25) 1209호 사학과 사무실 TEL:629-5422~3 FAX:629-5425

Copyright(C)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교내사이트
  • 홈페이지 빌더
  • 학생생활관
  • 정보전산원
  • 유학생지원팀
  • 글로벌어학교육센터
  • 인재개발원
  • 박물관
  • 보건진료소
  • 도서관
  • 산학협력단
  • 교수회
  • 시설공간정보
  • 소비자생활협동조합
  • 공학교육혁신센터
  • 장애학생지원센터
  • 디딤돌시스템
닫기
  • 학과소개
    • 교육목적 및 인재상
    • 학과소개
    • 교수진소개
    • 위치안내
  • 학부
    • 교육과정
    • 졸업안내
    • 입학안내
    • 장학안내
  • 대학원
    • 일반대학원 사학과
      • 전공소개
      • 교육과정
    •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 전공소개
      • 교육과정
    • 글로벌정책대학원 한국문화학전공
      • 전공소개
      • 교육과정
  • 학생 자치기구
    • 학생회
      • 학생회 인사말
    • 답사준비위원회
  • 커뮤니티
    • 공지사항
    • 사학과 소식
    •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