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교과과정 > 교과과정 > 지반공학
건설공사 현장의 지반상태에 따른 토질공학적 문제점을 인지하여 이를 시공 및 설계에 고려하여 경제적이면서 안정된 공사가 되로독 하는 지반공학의 기초학문이다.
고체역학과 전혀 다른 운동유체의 특성에 적합한 레이놀즈 수송정리를 이해하고 이로부터 질량, 운동량, 에너지 보존식을 유도한다.
구조물의 기초공법 선정과 설계를 위한 지반조사 및 토질시험 기법, 조사자료와 실험자료를 분석/정리하여 구조물 기초공법의 선정과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함과 동시에 도심지 기초공사나 굴착공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인 문제와 인위적인 재해를 최소하도록 면밀한 기초공사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능력을 겸비토록 교수한다.
1)시공계획, 2)굴착, 운반, 성토, 다짐, 3)굴착기계, 운반기계, 다짐기계, 4)직접기초, 말뚝기초, 흙막이공, 5)배합, 콘크리트타설, 균열보수, 6)암반절취, 발파, 진동, 7)옹벽시공, 8)매설관의 시공, 9)교량가설법
지반조사 자료, 토질시험 결과 및 구조물에 관련ㄴ된 정보를 분석/정리하여 구조물 기초공, 지반굴착을 위한 흙막이공, 옹벽공, 연약지반처리공, 토공(깍기, 쌓기) 등의 설계능력을 갖추게 함과 동시에 기초공사, 굴착 및 성토공사, 연약지반처리공사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인 문제와 인위적인 재해를 최소하도록 면밀한 시공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겸비토록 교수한다.
국가기간산업망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도로건설과 관련하여 지반조사, 교통량 예측, 수리수문 조사 결고를 토대로 경제성, 내구성, 기능성 등을 고려해서 교통하중과 환경조건에 적합한 포장구조(연성, 강성)와 배수공을 설계하고 시공 관리는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교수한다.
교통공학의 정의와 관련 시설 정비의 추이, 교통계획 방법과 교통수요예측, 도로의 계획 및 기하구조 설계, 도로 교통의 용량 등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하여, 교통공학 분야 실제 업무에 대한 적응력을 키운다.
2학년 | 토질역학및실험, 토질공학및실험 |
---|---|
3학년 | 기초공학, 토목시공학, 지반공학 |
4학년 | 도로공학및설계 |